2021년 3월 서울 소재의 고등학교에 입학한 김토끼가 처음 직면한 것은 보수적인 복장규제였습니다. 엄격한 학교생활규정도 문제였지만 규정에 없는 사항마저 교육청의 감시를 피해 학생들을 통제하고 있는 상황이었다고 해요. 이에 김토끼는 서울시교육청 학생 청원 게시판에 용의 규정을 개정하도록 교육청이 나서달라는 청원을 게시하는 한 편, 학생인권단체 아수나로 역시 용의복장규제 문제를 언급하면서 해당 이슈를 공론화시키기 위해 노력했어요. 결국 이 문제는 국가인권위원회로도 넘어가게 되었어요.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인권위로 가게 됐고, 그 결과는 어땠을까요? 더 나아가 이 운동은 어떤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냈을까요?
아시아 최초로 철저한 난민협약의 이행을 위해 독자적인 법률인 난민법이 2013년 시행되었습니다. 여러 논쟁과 타협 속에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난민법은 그 입법과 시행 자체가 빛나는 성과라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이러한 진취적인 법조항에도 불구하고 실무상 법률의 취지가 잘 지켜지지 않거나, 법률조항의 미비로 인해 권리보장을 충분히 받지 못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 난민들의 권리를 위해 법적인 활동을 해왔던 공익법센터 어필은 난민들의 권리가 침해되는 지점에서 문제의식을 가지고 여러 차례 소송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실무적, 제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만들어냈습니다. 실제로 어떤 변화를 만들어냈고, 여전히 남아있는 과제는 무엇인지 살살펴봅시다.
최근 들어 민주시민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민주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어떤 교육이 필요할까요? 그 교육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무엇에 집중해야 할까요? 41번째 기획아카이브에서는 민주시민교육을 시도하는 이들의 생생한 사례부터 교육에 필요한 이론적, 실무적 지식까지 다룹니다. 또한 서울시의 민주시민교육을 다루는 중간지원조직인 서울시생활속민주주의학습지원센터도 자세히 다루었습니다.